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주스틸 공모주 청약

반응형

아주스틸

지난 1995년 설립된 아주스틸은 프리미엄 TV와 냉장고 등 프리미엄 가전에 사용되는 컬러 강판 전문 기업이다. 철강의 표면을 가공해 다양한 컬러와 패턴을 구현하고 내구성 및 기능성을 높인 제품으로 특히 주요 프리미엄 가전에 아주스틸 제품이 쓰이고 있다. 최근 프리미엄 가전 판매가 많아졌고 이는 컬러 강판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철강의 표면을 가공해 향균 등 기능성뿐만이 아니라 색상과 디자인 등의 요소를 가미할 수 있는 컬러 강판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아주스틸은 올 1분기에만 매출 1,740억 원, 영업이익 145억 원을 거뒀는데 지난해 영업이익은 약 284억 원이다. 지난해 매출의 약 69%는 가전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어 가전테리어(가전+인테리어) 유행에서 가장 큰 수혜를 보여줄 기업으로 꼽힌다.

아주스틸 공모 청약

아주스틸 기업공개(IPO) 청약에 나선 컬러 강판을 전문으로 고품질 철강소재 기술을 보유한 아주스틸이 22조 원이 넘는 청약 자금을 빨아들였다. 1995년 설립된 아주스틸은 가전제품과 건자재 등에 쓰이는 철강 소재인 컬러강판 개발과 제조에 주력하는 기업이다. 철강 소재 기업인 아주스틸이 공모주 청약에서 증거금을 22조원 이상 모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아주스틸이 청약 둘째날 오후 2시30분 기준 청약 경쟁률 1000대 1을 돌파했다.

10일 대표 주관사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9~10일 진행한 아주스틸 일반 청약에 모인 증거금은 22조3천억원 수준이다. 컬러 강판 수요 증가에 공모주 투자자들의 공모 열기가 뜨거웠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같은 날 청약 일정을 마무리한 롯데렌탈의 증거금은 8조 4,000억 원에 그쳐 희비가 갈렸다. 브레인즈컴퍼니는 2조2천억원 1,200 대 1에 육박한 경쟁률을 보이면서 선방했다. 또 지난주 청약을 진행한 '대어' 크래프톤의 증거금 5조358억원의 4배를 웃돌았다.

아주스틸 청약 경쟁률

일반 청약 경쟁률은 1천419.73대 1이다. 20만8천주 모집에 청약 수량 2억9천530만4천459주가 몰렸다. 청약 건수는 59만7천219건을 기록했다. 일반 청약을 마무리한 아주스틸은 오는 20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아주스틸 공모가

공모가는 1만5천100원이다. 아주스틸은 앞서 진행한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도 1,777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희망 범위 상단인 1만 5,100원으로 확정한 바 있다.

한편 아주스틸은 오는 20일 코스피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롯데렌탈 공모 청약

 3년 만의 롯데그룹 IPO 시장 복귀로 관심을 모았던 롯데렌탈은 최종 경쟁률 65.81 대 1, 증거금도 8조 4,000억 원에 머물렀다. 일반 투자자들에게 2,552억 원을 조달하는데 314억 원을 공모하는 아주스틸에 비해 증거금 규모가 작았다. 앞서 진행한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 경쟁률이 217 대 1로 낮게 집계되면서 일반 투자자들이 청약에 주저한 것으로 보인다. 회사는 앞서 지난 2~3일 진행된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 공모가를 희망 범위(1만2700~1만5100원) 최상단인 1만5100원으로 확정했다.

수요예측에서는 국내외 기관 총 1428곳이 참여해 67억7998만2000주를 신청했다. 이에 따른 경쟁률은 1776.90대 1을 기록했고 총 공모금액은 1048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3994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참여 기관 중 92.8%에 해당하는 1319곳은 희망범위 상단 이상의 가격을 써냈으며, 전체 신청물량 중 의무보유확약 비중은 약 16.3% 수준이었다.

브레인즈컴퍼니 공모 청약

같은 날 청약 일정을 마무리한 브레인즈컴퍼니 역시 투자 열기가 뜨거웠다. 일반 투자자에게 37억 5,000만 원을 배정했는데 청약 경쟁률이 1,190.39 대 1에 이르면서 2조 2,320억 원의 증거금을 모았다. 한편 공모 일정을 마무리한 아주스틸과 롯데렌탈은 각각 오는 20일과 19일 코스피 시장에 입성하며 브레인즈컴퍼니는 19일 코스닥에서 거래된다.

10일 대표 주관사 미래에셋증권(006800)에 따르면 청약 둘째날 기준 경쟁률은 1074.42대 1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증거금으로는 약 16조8800억원을 기록 중이다.

 

 

 

반응형